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코 호흡의 중요성

by Kong Hai 2023. 2. 26.
728x90

건강의 기본은 코 호흡 인간 본래의 호흡 법은 코 호흡이지만,  많은 사람은 입 호흡을 하고 있는 현실이 입니다.

포유류 중에서 입 호흡을 하고 있는 것은 인간뿐입니다.

원래 포유류에게 코는 숨을 쉬기 위한 기관, 입은 먹기 위한 기관이지만, 인간은 진화의 과정에서 언어를 획득하는 말을 하게 되면서

입으로 호흡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입 호흡을 하지 않고 말을 발하게 되면 입 호흡을 하게 되어 이에 따른 병을 발병하게 되는 것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입 호흡은 외부자극에 무방비인 호흡 법

입 호흡을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이는 증상을 이야기 하자면,

입 호흡은 차고 건조한 이물질 투성이의 공기가 직접 인두, 후두에 닿게 되고, 입안은 건조하고 병원체가 번식하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즉, 병원 균 등의 외부자극에 대해서 매우 무방비한 호흡 법인 것입니다.

인간이 걸리는 병의 7할은 입 호흡이 원인이라고도 합니다.

입 호흡을 하고 있어도 일상 생활 에서 아무런 지장도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입 호흡 습관을 계속함으로써 호흡기계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피부 질환, 자가 면역성 질환, 등에 걸리는 위험을 높일수 있다는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입 호흡은 충치나 입 냄새의 원인이 되기 쉽다고 합니다.

입 호흡을 하면 입 안이 건조 하게되서  침의 분비도 억제되어 됩니다.

그러나 침에는 입 안을 살균하는 작용이 있어서, 타액의 분비가 줄어들 것으로 충치가 발생하기 쉽고, 입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인간 본래의 호흡 법은 코 호흡

입 호흡은 외부자극에 무방비인 호흡 법인데 ,코 호흡은 매우 뛰어난 방어 체계를 갖춘 호흡 법입니다.

코 입구에 있는 코털은 천연의 필터이라고도 하고, 밖에서 침입하려는 꽃가루, 먼지 등을 막아주기도하고 비강 점막에서는 섬모 상피 세포와 점액 분비에 의해서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더 작은 이물질을 걸러줍니다.

코에서 들어온 공기는 비강 속을 통과할 때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 조정되어 폐의 직접적인 자극이 덜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코로 들어간 공기는 입으로 들어가는 공기보다 감염증에 걸릴 위험이 적다고 합니다.

호흡기의 일부인 코는 온도 조절이나 가습 기능, 공기 청정 기능을 갖추고 있어 건강을 위해서는 코 호흡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코 호흡과 다이어트

코 호흡은 몸에 많은 산소를 넣어, 지방이 잘 연소되고 혈류도 좋아지고 내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보다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기초 대사가 오르고 관리하기 쉬운 몸이 됩니다.

기초 대사는 호흡을 하거나 심장을 움직이거나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로 앉아 있거나 수면 중 등 가만히 있을 때에도 소비되는 에너지입니다. 하루 에너지 소비량의 6~7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초 대사량이 올라간다는 것은 특별한 운동 등을 하지 않아도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음식도 효율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몸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기 위해서는 기초 대사를 올리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또 근육량이 늘어나면 기초 대사량도 변화하므로, 코 호흡을 습관적으로 하여 호흡 근육을 단련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코 호흡의 기대되는 효과

입을 닫는 것으로, 입의 갈증과 목의 건조를 막기때문에 침의 분비가 많아지므로, 입 안의 살균 효과가 높아집니다.

코 골이 경감, 근육에 많은 산소가 배달되므로 피로 물질인 젖산이 감소하고 디톡스 효과가 높아집니다.

기초 대사가 오르고 관리하기 쉬운 몸이 됩니다.

 

코 호흡을 도와주는 테이프를 붙여 코 호흡의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건강 때문에 코 호흡을 습득하는 기본은 항상 의식하고 입을 닫고 평소 코 호흡하는 것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수면 시에는 코 호흡 테이프로 입술을 닫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석증에 대하여  (0) 2023.02.28
하지 정맥류의 대하여  (0) 2023.02.27
오십견(어깨 관절 주위염) 이란  (0) 2023.02.25
구내염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2.24
꽃가루 알레르기에 대하여  (0)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