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은 정식으로는 어깨 관절 주위염 또는 동결견이라고 합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어깨가 아프다 라고 생각하는 가벼운 통증을 느끼는 정도 이지만 어느새 진행되어 통증이 강해져, 어깨를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원인 불명의 질환입니다.
40~60대에 생기기 쉽고, 특히 50세 전후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십견 이라고 불립니다.
오십견이 되면 일상생활의 작은 곳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을 빗거나 앞치마의 끈을 묶는다거나 세탁물을 털려고 하는 동작은 어깨에 통증이 생기기 쉽고 움직이기가 힘들어 질 것 입니다.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는 오십견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십견의 원인과 증상
특히 원인이 없는 것이 오십견의 특징입니다.
오십견의 증상으로 주로 어깨 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연골, 인대, 힘줄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조직) 등이 어떤 원인으로 염증이 발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화에 의한 어깨 관절 주변 조직의 노화가 염증의 원인의 일단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자세한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명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어깨에 통증과 가동범위의 제한이 생기는 것이 오십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깨에서 팔까지 통증이 생깁니다.
우선 어깨에서 팔까지를 걸쳐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을 하는 등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과 위화괌을 기억하는 것이 오십견의 초기 증상의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일부는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런 원인이 어깨를 움직였을 때나, 경우에 따라서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에도 어개에서 팔까지를 걸쳐 통증을 느끼면 오십견의 신호일지도 모릅니다.
옷을 벗고 입기가 어렵습니다.
통증 외에 어깨의 가동범위에도 제한이 생겨 일상 생활의 약간의 동작이 어려워지는 것도, 오십견의 특징적인 증상의 하나입니다.
처음에는 가벼운 통증이였던 것이 서서히 통증이 강해져, 옷을 벗고 착용이 힘들정도여서 이때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라고 인식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잠자리에 들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또 하나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야간, 잠을 잘때 통증을 동반하는 쪽의 어깨를 깔고 옆으로 누우면 통증이 강하게 나온다는 것도 있습니다.
또한 무의식적으로 자다가 아픈 부위를 쳤을때 통증이 나와 놀라는 경우도 있을지 모릅니다.
오십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자는 때의 몸의 방향에도 조심하는 편이 좋을 것 입니다.
어깨 결림과 오십견의 차이와 구별방법
어깨에서 팔까지를 걸친 통증 , 어깨를 움직이는 것이 힘들다
라는 오십견의 증상은 실은 어깨 결림의 증상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 때문에 구별이 어려운 일도 종종 있습니다. 어깨 통증의 증상이 오십견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어깨결림에 의한 것 인지,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목을 움직이면 통증이 강해져,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끼는 경우 → 어깨결림
-팔을 움직이면 통증이 강해져, 어깨 관절을 움직이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 → 오십견
오십견의 단계
시간의 흐름이나 증상의 진행 상황 등에 의해 급성기, 만성기 , 회복기라고 하는 단계를 따릅니다.
급성기
통증을 느끼기 시작한 지 4개월 이내가 오십견 급성기에 해당됩니다.
통증이 가장 강한 시기에 어깨를 움직이거나 운동할 때 뿐만 아니라 휴식이나 밤 등 자고 있을 때도 통증이 나올 수 있습니다.
팔을 올리지 못한다거나, 뒷짐을 질 수 없다고 하는 가동범위의 제한도 생겨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곤 합니다.
만성기
급성기 다음으로 만성기라고 불리는 시기입니다.
관절이 굳어져 버리는 구축 축이라는 증상이 나타나 어깨의 가동범위 제한이 모든 방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어깨 관절을 중심으로 팔을 돌리는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그러나 반면 통증은 가벼운 경우가 많습니다. 대체로 발병으로부터 3~6개월이 경과해서 가벼운 통증이 남아 있는 경우는 아픈쪽의 어깨를 통증이 나타나기 전까지 움직이면서 스트레칭 하는 것도 좋습니다.
회복기
만성기가 끝나면 회복기에 들어갑니다. 이 시기가 되면, 움직이기 어려운 어깨의 가동범위는 서서히 개선되어 팔을 올리기 쉬워지거나 등 뒤로 앞치마의 끈을 묶는 것이 통증없이 가능하게 됩니다. 통증도 거의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가끔 스트레칭을 하는 등 어깨 관절의 구축을 개선하고 원래 상태로 되돌리도록 노력하는것이 좋습니다.
덧붙여 오십견은 회복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가 많아 , 증상을 느끼고 나서 회복하기까지 1년 정도 걸리는 일도 적지 않습니다.
오십견을 올바르게 진단 받기
오십견은 특히 원인없이 발병하기 때문에 발병 자체를 예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더 악화 되는것은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오십견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해당 병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 정맥류의 대하여 (0) | 2023.02.27 |
---|---|
코 호흡의 중요성 (0) | 2023.02.26 |
구내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4 |
꽃가루 알레르기에 대하여 (0) | 2023.02.23 |
눈의 피로에 대하여 (0) | 2023.02.22 |